[Web of Knowledge 플랫폼]
Web of Knowledge의 이용은 http://apps.webofknowledge.com/로 연결.
[Web of Knowledge 모바일]
스마트폰 이용자는 교내에서 apps.webofknowledge.com로 연결.
Web of Science 검색 위젯입니다. 개인이나 연구실 홈페이지에 WoS 검색 위젯을 달고 싶은 경우
http://wokinfo.com/webtools/searchbox/를 방문하여 사용하시기 바랍니다.
Thomson Reuters Korea에 방문하시면 Webinar 일정이나 혁신현황 리포트 등 보다 다양한 내용의 자료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.
[동영상 교육]
-연구자들의 논문 연구실적 관리를 위한 사이트이고 등록 후, 개인 식별 ID가 생성되며, 자신의 논문실적을 검색이나 반입기능을 통해 관리할 수 있다. Web of Science에 계정이 있으면 함께 사용할 수 있다.
- 한국, 중국 연구자들의 경우, 동일한 성, 영문 이니셜을 가진 연구자들이 많은 이형표기의 문제와 더불어 저자 식별이 어렵다. Researcher ID는 이런 문제를 해결하고 인용정보(H-index, 연도별 인용 분포, 총 피인용 횟수, 평균 피인용 횟수 등)의 갱신 및 공동연구자들과의 네트워크 구축을 가능하게 한다.
-연구자들은 Researcher ID 개별 등록을 통해 고유한 번호를 가짐으로써 학계에서의 정확한 인지와 출판논문 홍보 및 연구 네트워크 확대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.
<주요 기능>
Researcher ID Badge: 자신의 홈페이지나 블로그에 위젯을 달아 연구실적을 방문자에게 알리는데 도움을 준다.
Collaboration Network: 공저자들의 연구주제 분야나 국적, 기관별 현황을 그래프로 확인하고 해당 연구자의 연구인맥을 살펴볼 수 있다.
<등록하기>
Step 1
이미 RID 계정을 가지고 있다면 Web of Knowledge 플랫폼에 로그인을 합니다. 자신의 논문을 찾기 위해서 간단하게 검색어/ 검색식(예: 저자명) 을 넣고 검색한다. (RID 계정이 없는 경우는 "Sign in" 버튼을 클릭하고 계정을 만든다.)
![]() |
Step 2
왼쪽에 체크 박스를 체크하고 아티클을 선택합니다. 그리고, "Researcher ID" 버튼을 클릭해서 RID 계정으로 저장한다.
![]() |
Step 3
선택한 레코드가 이용자 본인의 문헌이 맞는지를 다시 한번 확인을 하고 OK 버튼을 선택한다.
![]() |
Step 4
해당 레코드가 RID 계정과 EndNote Web에 추가가 되었다면 확인 메세지가 나타나고 실제 RID에 저장 되었는지 계정에 가서 확인한다.
![]() |
Web of Knowledge(http://