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학술실적 데이터 관리>
교내 연구자의 학술실적(논문, 학술회의 및 저역서)데이터는 POVIS 시스템의 Human Resources>업적관리>연구업적 등록 기능을 이용하여 개인별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다. 입력된 학술실적 데이터는 한국연구재단에서 구축한 국가연구업적통합정보(KRI) 시스템과의 데이터 연동을 통하여 본인의 실적 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POVIS 시스템의 Human Resources>업적관리 기능을 통하여 업데이트된 데이터의 조회가 가능하다.
1. 논문실적 등록
1) 신규 업적을 등록하고자 할 경우 먼저 화면 상단의 “신규입력” 버튼을 클릭하여 입력 가능상태로 만든다.
2) 학술지 구분 필드의 드롭 다운 버튼을 클릭한 후 해당 유형을 선택한다. SCI(E)나 SCOPUS DB에 등재된 동일 실적은 다른 유형의 실적으로 이중 등록하지 않는다.
예) SCI(E)나 SCOPUS 등재 Conference proceedings 논문 : SCI급, SCOPUS 등재논문으로만 등록한다.
3) 원저자명 필드는 연구자가 직접 입력할 수 없다(SCI(E)나 SCOPUS의 raw data를 반입하여 Display
4) 본교 부임 전 발표한 논문실적(저자의 주소 데이터 기준)인 경우에 클릭하여 “ü” 를 입력한다.
2. 초기실적 관리
1) SCI/SCOPUS초기실적 탭에서 해당 데이터를 확인한다.
2) 해당 라인을 클릭하면 화면 상단에 논문의 상세 정보가 각각의 필드에 위치하여
display 된다.
3) 입력된 데이터의 확인 및 수정이 필요한 경우 직접 입력한다.
4) ‘연구분야’ 필드를 입력한다.
5) 기타 필드 데이터 입력 후 ‘저장’을 클릭한다. 저장된 데이터는 ‘등록실적’으로 이관.
등록실적 탭에서 확인 가능하다.
3. 학술회의 논문 및 발표실적
1) 학술회의 구분
-학술회의 실적은 “정기학회논문집게재”와 “학회발표”로 구분된다. 전자는 publish 된 것을 의미하고, 후자는 단순 presentation 을 의미한다.(“정기학회논문집게재” 실적만 KRI로의 전송)
-학술회의 실적은 연구자의 등록에 의해서만 생성된다.
-학술대회명에는 컨퍼런스의 이름(예:제8회 국제XXXX컨퍼런스…)을 입력하고, 개최학술단체명은 주관한 학회(Society)를 입력한다. (예: 대한화학회)
-“학회발표논문집명”은 학술회의 구분에서 “정기학회논문집”을 선택한 경우에 활성화되며 논문이 게재된 proceeding명을 기입한다.
-날짜를 입력하는 필드는 학회기간(시작일), 학회기간(종료일), 발표일(게재일)로 구분되며 발표(게재)일이 필수 입력 필드이다.
-“학회발표”인 레코드는 “확인”처리하고, “논문집게재”인 경우는 확인 후 KRI시스템으로 ”전송” 처리한다.
2) 학술회의 데이터 입력
- 학술회의 실적은 Conference Proceedings 게재 논문 및 학회에서 Presentation 한 경우로 구분하고 두 가지 모두 해당될 때는 Proceedings를 ‘정기학회논문발표집’으로 구분 입력한다.(Proceedings 및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만 KRI로 전송)
-국내/외 구분은 해당 학회를 기준으로 선택한다
-‘학술대회명’은 컨퍼런스명 전체를 입력한다. (예: ICCG-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mputer graphics)
-‘논문명’ 필드에는 Proceedings의 게재 논문 제목이나 발표 제목을 입력한다.
-‘학회 발표논문집명’ 필드는 해당 Proceedings Title을 입력한다. 학회활동 구분을 ‘정기학회논문발표집’으로 선택한 경우만 활성화된다
-‘발표장소’ 필드는 해당 학회가 개최된 장소(국가, 도시, 기관명 등)를 입력한다.
-‘학회기간’이나 발표일자(게재일자)’ 필드는 yyyymmdd의 형식으로 입력한다. 세가지 일자 입력 필드 중 발표일자(게재일자)는 반드시 입력해야 한다.
4. 단행본 실적
1) 단행본 구분
-저서, 역서, 편서, 서평, 기타로 구분된다.
-연구자의 등록에 의해서만 생성된다.
-ISBN 정보는 반드시 입력하여야 한다
2) 저역서 실적 입력
-‘국내/외’ 구분은 발행처(출판사) 기준으로 선택한다.
-‘ISBN’ 필드는 출판된 저역서의 ISBN을 입력한다.
-‘집필페이지’ 필드는 해당 도서의 일부만 집필한 경우 본인의 저작페이지를 기입한다.
-‘전체 페이지수’ 필드는 해당 도서의 총 면수를 기입한다.
5. 보고서 실적
1)보고서 구분
-보고서는 연구보고서, 기술보고서로 구분된다.
-연구보고서는 일반적으로 교내외 수탁 연구과제로부터 생산된 결과물을 의미한다
-기술보고서는 연구보고서의 범위에 넣기 어려운 경우(예: 기술자문 등)로 정의한다.
-보고서 실적은 연구자의 등록에 의해서만 생성된다.
-관리 모듈이 개발되지 않은 상태이므로 입력된 정보만 확인할 수 있다.
2) 보고서 실적 입력
-‘보고서’는 연구보고서와 기술보고서로 구분한다.
-교내외 연구프로젝트 수행 결과 생산된 보고서는 연구보고서로, 기타 기술자문 등 제출 보고서는 기술보고서로 구분한다.
-‘국내/외’ 구분은 과제 요구 기관(프로젝트 발주기관)을 기준으로 작성한다.
-‘주관기관’ 필드는 과제 요구 기관(프로젝트 발주기관)을 기재한다.
-‘발행기관’ 필드는 보고서의 주 작성기관을 입력한다. (POSTECH이 기본값)
6. 학술실적 코드 데이터 입력
학술실적 코드 데이터 입력 방법은 다음과 같다.
1) 코드 입력 필드는 논문언어, 발행국가 및 연구분야로 구분되며 한국연구재단에서 지정한 코드테이블로 구성되어 있다.(KRI시스템과 연동)
2) 연구분야 코드 입력 및 등록 방법
-‘연구분야’ 필드 아이콘을 클릭한다.
-‘필터링 기준 표시’ 를 클릭하면 검색창이 나타난다.
-’텍스트’ 입력창에 원하는 전공 분야명을 입력한다.
- Keyword 앞뒤에 “ * “를 이용하여 검색하면 해당 단어를 포함, 전 분야 display.
-하단 값 리스트에서 적합한 분야의 라인을 선택한 후 ‘확인’을 클릭한다
-‘개인값 리스트에 추가’를 클릭하여 저장시 ‘개인값 리스트’ 탭에서 바로 입력 가능.
3) 코드언어 및 발행국가 코드 입력도 연구분야 코드 입력 방법과 동일하다.
-언어 코드 : KOR(한국어), ENG(영어), JAP(일본어), CHI(중국어) 등
-발행국가 코드 : KO(한국), US(미국), GE(독일), NE(네덜란드), CC(중국), UK(영국) 등
7. 등록 권한 이양
1) 학술실적의 등록과 관리는 저자 본인의 계정으로 로그인 후 관리가 가능하지만,
2) 특정 연구자가 다른 사람에게 학술실적 업적 관리의 등록권한을 이양하게 되면,
3) 권한을 위임받은 사람은 본인의 POVIS 계정으로 특정 연구자의 학술실적을 관리할 수 있다.
-교수의 POVIS 업적 관리 메뉴에서 ‘등록권한 이양’을 클릭한다.
-‘신규’버튼을 누르면 리스트에 피권한자 항목이 추가 생성된다.
-피권한자 라인에 생성된 셀을 클릭, 권한을 위임할 학생(직원)의 성명을 입력 후 검색하여 선택한다.
-업무 그룹에서 ‘논문’을 선택한 후 ‘저장’버튼을 클릭하면 권한 이양이 완료된다.
-등록권한 이양된 사람의 POVIS 계정으로 로그인한 상태에서 ‘변경’ 버튼을 클릭하면 업적 권한 제공자의 정보가 별도의 창으로 나타나고 해당 연구자의 실적이 나타난다.
<붙임>
1. Journal Impact Factor
-POVIS에 등록된 SCI(E) 등재학술지 논문은 해당 논문이 게재된 학술지의 영향력 척도인 JCR Impact Factor(이하 IF)를 제공한다.
-연구자는 POVIS의 업적관리>업적조회>국제학술지 논문조회에서 논문별 Impact Factor 값을 확인할 수 있다.
-각 논문별 Impact Factor는 해당 논문이 출판된 연도의 JCR(Journal Citation Reports) Edition의 Impact Factor값으로 매핑된다.
-JCR DB는 연 1회 발행되며, 매년 6월~7월에 업데이트된다.(즉, 2012년 6월 이후에 2011년도의 저널 IF가 제공됨)
2. Citation
-논문별 인용횟수는 SCI(E) 등재 논문에 한해 제공되며, 교내 부임 이후(저자 주소데이터 기준) 논문 실적의 인용횟수만 관리된다.
-인용횟수는 SCI(E) DB의 데이터를 적용하고, 인용횟수 변경시마다 업데이트를 하지 않고 년 1회 기준 시점을 정하여 일괄 업데이트한다.(데이터 로딩 시기 : 매년 2월 말)
-교수 업적평가 데이터 제출시에는 최근 일자의 데이터를 다운받아 인용횟수를 제공한다.
<표 1> 학술실적 구분 및 등록
유형 |
하위 구분 |
등록 방법 |
학술지 |
국제전문 학술지(SCI 급, SCOPUS 등재)논문 |
초기실적 로딩된 데이터를 검증 |
국제일반 학술지 논문 |
직접 입력 |
|
국내전문 학술지(KCI) 논문 |
||
국내일반학술지 논문 |
||
기타 비정기 학술지 논문 |
||
학술회의 |
학술회의 논문집 게재 |
|
학술회의 발표 |
||
보고서 |
연구보고서 |
|
기술보고서(기술자문) |
||
단행본 |
저서 |
|
역서 |
||
편서 |
||
서평 |
||
기타 |
<표 2> 저자역할 구분
구분 |
내용 |
단독저자 |
1인 출판 문헌인 경우 |
주저자 |
공저자가 있는 문헌에서 해당 저자의 이름이 첫 번째 위치한 경우 |
교신저자 |
Corresponding author 또는 Reprint Author로 표기되었거나, 해당 저자의 E-mail 주소가 기재된 경우 |
공동저자 |
공저자가 있는 문헌에서 주저자도, 교신저자도 아닌 경우 |
<표 3> 학술실적 데이터 단계별 구분
구분 |
내용 |
비고 |
등록 |
-연구자가 직접 논문실적 데이터를 신규 생성 후 저장한 상태. -연구자가 초기실적 데이터를 검증 후 저장하여 등록실적으로 이관한 상태. SCI(E) 등재논문을 연구자가 직접 신규 생성했으나 해당 DB에 미등재된 경우 : 관리자가 입력한 사유(의견)필드의 상세 내용 참조. |
연구자 직접 수정 가능 |
확인 |
-시스템에 입력된 데이터를 관리자가 확인한 상태 (데이터 수정을 요할 경우 관리자에게 요청) |
연구자 직접 수정 불가 |
전송 |
-KRI(국가통합연구정보시스템)로 실적 데이터가 전송된 상태(데이터 수정을 요할 경우 관리자에게 요청) |
연구자 직접 수정 불가 |
전송 취소 |
-KRI로 전송된 데이터의 추가정보 기입 또는 내용수정을 위해 전송을 취소한 상태 |
연구자 직접 수정 가능 |
반려 |
-동일한 실적 데이터의 중복기재 또는 오류로 인해 관리자가 삭제를 요청한 상태 |
연구자 직접 삭제 |